본문 바로가기

CS STUDY/네트워크

대칭키 & 공개키

대칭키(Symmetric Key)

  • 암호화, 복호화에 같은 암호키(대칭키)를 사용하는 알고리즘 
  • 동일한 키를 주고받기 때문에 매우 빠름 but 전달과정에서 해킹 위험에 노출
  • DES, 2DES, AES, SEED, ARIA 등

공개키(Public Key)/비대칭키(Asymmetric Key) 

  • A가 B에게 데이터를 보내는 경우 A는 B의 공개키로 데이터를 암호화해서 보내고 B는 본인의 개인키로 해당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화해서 확인
  • 암호화된 데이터는 B의 공개키에 대응되는 개인키를 갖고 있는 B만이 볼 수 있다.
  • 중간 공격자가 B의 공개키를 알아도 B의 개인키로만 복호화가 가능 
  • 복잡한 수학 연산을 수행하기 때문에 대칭키 알고리즘에 비해 속도가 느리다.
  • Diffie-Hellman, RSA, DSA, ECC 등

 

 

 

참고

https://velog.io/@gs0351/%EB%8C%80%EC%B9%AD%ED%82%A4-vs-%EA%B3%B5%EA%B0%9C%ED%82%A4%EB%B9%84%EB%8C%80%EC%B9%AD%ED%82%A4

 

대칭키 vs 공개키(비대칭키)

대칭키 암호화 방식 : 암복호화에 사용하는 키가 동일함공개키 암호화 방식 : 암복호화에 사용하는 키가 서로 다르며 비대칭키 암호화라고도 함대표적 알고리즘 : DES, 3DES, AES, SEED, ARIA장점 : 암

velog.io

https://ko.wikipedia.org/wiki/%EA%B3%B5%EA%B0%9C_%ED%82%A4_%EC%95%94%ED%98%B8_%EB%B0%A9%EC%8B%9D

 

공개 키 암호 방식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공개 키 암호 방식(公開 - 暗號 方式, public-key cryptography)은 암호 방식의 한 종류로 비밀 키 암호 방식과 달리 암호화와 복호화에 이용하는 키가 다른 방식을 말

ko.wikipedia.org

 

'CS STUDY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TCP/IP 흐름제어 & 혼잡제어  (0) 2024.03.08
UDP  (0) 2024.03.03
TCP 3-Way Handshake  (0) 2024.03.03
OSI 7 계층  (0) 2024.03.02
동기/비동기 & 블로킹/논블로킹  (0) 2023.1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