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 STUDY/운영체제
운영체제란(2)
cha_eyoon
2023. 12. 28. 12:55
3. 네트워킹
컴퓨터는 Local Area Network(LAN)이라는 단위로 연결된다. 네트워크 상의 컴퓨터끼리 통신하기 위해서는 프로토콜이라는 정해진 규칙이 필요한데 TCP/IP나 HTTP와 같은 프로토콜의 지원도 OS의 역할이다.
* LAN: 근거리 통신망, 가까운 지역을 하나로 묶는 네트워크
* WAN:광역 통신망, 먼거리의 지역을 하나로 묶는 네트워크
프로토콜
- TCP/IP 프로토콜:
- TCP는 데이터를 일정한 크기로 분할, IP는 TCP가 분할한 데이터에 송신처를 붙여서 네트워크로 보낸다.
- OS가 지원
- HTTP 프로토콜:
- 웹브라우저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HTML 파일 또는 그림을 보내고 받는다.
- 애플리케이션 레벨에서 지원
OSI참조모델
- 트랜스포트층, 네트워크층, 데이터링크층: OS가 지원
- 애플리케이션층, 프레젠테이션층, 세션층의 주요 프로토콜: HTTP, FTP, Telnet, SMTP, POP가 지원
4. 사용자 관리
- 사용자 계정 생성 및 관리: 계정 생성, 권한 설정, 계정 보안등의 절차를 통해 사용자 계정을 관리
- 권한 관리: 사용자 및 그룹에 대한 권한을 완리, 특정 파일 및 디렉토리에 대한 접근, 수정, 삭제 권한을 부여하거나 제한
- 보안 관리: 사용자의 비밀번호 관리, 로그인 시도에 대한 기록, 부적절한 접근 시도에 대한 알림
- 자원 할당: 운영체제는 각 계정에 필요한 자원(CPU 시간, 메모리 등)을 할당하고 관리 => 여러 사용자가 시스템을 동시에 사용하더라도 각각의 작업 환경이 독립적으로 유지
5. 디바이스 드라이버
디바이스 드라이버는 운영체제와 하드웨어 간의 중개자 역할을 하는 프로그램이다. 특히, 운영체제가 하드웨어를 직접 제어하기 어렵기 때문에 디바이스 드라이버가 중간에서 통신을 돕는다.
- 디바이스 제어: 드라이버는 디바이스의 작동 방식을 알고 있기 때문에, 운영체제가 디바이스를 제어하고자 할 때, 적절한 명령을 디바이스에 전달
- 하드웨어 인터페이스: 드라이버는 하드웨어와 운영체제 간의 인터페이스 역할 => 특정 하드웨어가 필요로 하는 특수한 명령을 운영체제로부터 받아, 해당 하드웨어가 이해할 수 있는 명령어로 변환(어떤 명령을 전달할 것인가?)
- 입출력 요청(I/O request) 처리: 드라이버는 운영체제로부터의 요청을 받아, 해당 요청을 하드웨어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데이터를 읽고 쓰는 작업 포함(어떻게 그 명령을 처리할 것인가?)
- 오류 처리: 하드웨어에서 문제가 생기면, 드라이버는 이를 감지하고 적절한 방법으로 처리하거나 운영체제에 알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