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순위큐 (2) 썸네일형 리스트형 [백준]1766 문제집(Python) https://www.acmicpc.net/problem/1766 1766번: 문제집 첫째 줄에 문제의 수 N(1 ≤ N ≤ 32,000)과 먼저 푸는 것이 좋은 문제에 대한 정보의 개수 M(1 ≤ M ≤ 100,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M개의 줄에 걸쳐 두 정수의 순서쌍 A,B가 빈칸을 사이에 두고 주 www.acmicpc.net 문제 접근 선행 문제를 풀어야 후행 문제를 풀 수 있다는 점에서 위상정렬 알고리즘을 사용해야한다. 하지만 답이 여러 개인 경우에는 아무거나 출력한다는 조건이 없기에 정답은 하나이다. 이 문제의 조건에서는 "가능한 쉬운 문제부터 풀어야 한다"라는 조건이 있다. 코드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import sys import heapq inpu.. [백준]1753 최단경로(Python) https://www.acmicpc.net/problem/1753 1753번: 최단경로 첫째 줄에 정점의 개수 V와 간선의 개수 E가 주어진다. (1 ≤ V ≤ 20,000, 1 ≤ E ≤ 300,000) 모든 정점에는 1부터 V까지 번호가 매겨져 있다고 가정한다. 둘째 줄에는 시작 정점의 번호 K(1 ≤ K ≤ V)가 www.acmicpc.net 문제 접근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이 무엇인지 모르기에 우선 공부한다는 생각으로 접근 *다익스트라(Dijkstra): 시작점으로부터 나머지 정점까지 최단거리를 구할 때(=>요 문제) cf) 플로이드 워셜: 각 정점 간 최단경로를 구할 때 원리 매번 '가장 비용이 적은 노드'를 선택해서 임의의 과정을 반복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그리디 알고리즘과 구분 1. 출발 노드를..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