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OC (2) 썸네일형 리스트형 @Comonent? @ComponentScan? @Autowired? 어제 배운 IoC, DI와 오늘 배운 @Component, @ComponentScan, @Autowired를 연관지어 정리해보자. 스프링 빈 즉, 스프링이 컨테이너에 담아두는 객체로 등록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가 있다. 1. @Component2. @Configuration + @Bean=> 사실상 Configuration 자체에 Component가 포함되어 있기에 1 방법이 메인이다. 그럼 @ComponentScan은 무엇일까?말 그대로 컴포넌트를 스캔한다.즉, 스프링은 프로젝트를 스캔하며 '컴포넌트 어디에 적어놨니?'라고 물으며 자신의 컨테이너에 객체를 담는다. 사실 알다시피 컴포넌트 스캔은 원래 xml에서 하던 일이다.하지만 spring은 이 과정을 알아서 해준다. 역시 똑똑이...ㅎㅎ 마지막으.. 스프링 Core? 인간에게도 코어 근육이 중요한 것처럼 스프링에서의 코어도 매우 중요하다.그렇다면 스프링 코어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IoC (Inversion of Control) 제어의 역전?짧게 한 줄로 요약하자면 개발자가 아닌 스프링 컨테이너에게 설정을 통해 제어권을 넘기는 것이다.나는 역전을 역할의 전환으로 표현하고 싶다.즉, 원래 개발자가 가진 통제권을 180도 상황이 바뀌어 스프링이 가지게 되어 객체(스프링 빈)를 제어한다. 컨테이너 IoC/DI/스프링 컨테이너는 무엇일까?컨테이너 박스를 생각하자그럼 무엇이 담겨 있을까? 그동안 객체를 만 번은 얘기한 것 같다. 참고로 컨테이너도 객체이다. 객체에 객체들이 모여있다. 스프링 빈 스프링 빈은 객체이다.즉, 위에서 언급한 컨테이너는 스프링 빈을 담는다. ..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