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 (2) 썸네일형 리스트형 인터럽트(Interrupt) 인터럽트(Interrupt) 개념 CPU가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있을 때 예외 상황이 발생해 처리가 필요한 경우 현재 실행 중인 작업을 중단하고 발생한 상황을 CPU에게 알려 처리한 후에 다시 실행 중인 작업으로 복귀하는 것 종류 1. 외부 인터럽트 CPU 코어 외부에서 어떤 일이 발생한 것을 전기적인 신호로 CPU에게 통지하는 경우 정전 ·전원이상 인터럽트: 정전 또는 전원 공급 기계고장 인터럽트: CPU 및 기타 하드웨어의 오류로 인한 인터럽트 외부 신호 인터럽트: Timer 나 Operator로 인한 인터럽트 입출력 인터럽트: 입출력의 종료나 입출력의 오류로 인한 인터럽트 2. 내부 인터럽트 CPU 내부에서 실행중인 프로세스에서 오류가 발생했을 때 인터럽트에 걸리는 경우 잘못된 명령이나 데이터를 사용.. 프로세스 & 스레드 프로세스와 스레드의 차이 프로세스(Process): 운영체제로부터 자원을 할당받은 작업의 단위 스레드(Thread): 프로세스가 할당받은 자원을 이용하는 실행 흐름의 단위 프로세스 개념 프로세스는 메모리에 올라와 실행 중인 프로그램의 독립 객체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면 프로세스 객체 생성 프로세스는 OS로부터 시스템 자원을 할당받아 실행되는데, 이때 할당받는 시스템 자원은 CPU 시간, 운영을 위해 필요한 주소 공간, 메모리 영역 특징 프로세스는 각각 독립된 메모리 영역(Code, Data, Stack, Heap) 할당 Code: 실행할 프로그램의 코드나 명령어들이 기계어 형태로 저장된 영역 Data: 전역 변수와 정적 변수가 저장되는 영역 , 프로그램이 실행되면서 할당되고 종료되면서 소멸 Stack: 함수.. 이전 1 다음